본문 바로가기
주식분석다이어리

두산밥캣 코스피 대형주 주식 기업 재무 분석 배당 전망 공시 뉴스

by 루시제이LucyJ 2022. 2. 2.
반응형

 

경기 정상화에 따른 실적 개선
2014년 4월 설립된 동사는 자산규모 2조원 이상의 법인으로 대규모 법인에 해당하며 연결실체 기준으로 건설기계 생산 및 판매를 영위. R&D를 통한 제품혁신, 신흥시장 진출 등을 통하여 건설기계 및 Portable Power시장에서 Global 경쟁력을 갖추고 있음. Compact 건설기계는 주택 건설, 농업, 조경 시장을 주요 타겟으로 삼고 있으며 Heavy 건설기계 제품에 비해 경기에 상대적으로 덜 민감함.

2021년 9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0.3% 증가, 영업이익은 68.1% 증가, 당기순이익은 82.8% 증가. 경기 정상화에 따른 수요 회복 및 제품개선 효과로 전년 동기 대비 향상된 실적을 시현하였음. 동사는 북미 농경, 조경산업 진출로 라인업 및 딜러망을 확대할 계획이며 향후 유럽 및 오세아니아로의 시장 진출을 통해 당사의 지속적 성장을 기대중임.

재무제표

목표주가

경쟁사
두산중공업 / 현대두산인프라코아

최근 공시

뉴스
중국보다 유럽·북미…신시장 공략 나서는 건설기계
출처 : 이데일리 2022.02.02

- 지난해 건설기계 수출 4년 만에 증가
- 中 감소에도 미·유럽·아세안 등 성장 덕
- 딜러망 확대·맞춤형 제품으로 공략 강화

국내 건설기계업계가 올해 유럽과 북미, 중남미 등 신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 그간 주력해왔던 중국이 부동산 규제 정책 등으로 건설기계 시장 성장세가 둔해지는 상황에서 이를 대체할 지역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2일 한국건설기계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건설기계산업은 완성차 물량 기준 수출이 7만267대로 전년 대비 38.6% 늘어났다. 2018년부터 이어지던 감소세에서 4년 만에 벗어났다.

현대두산인프라코어(042670), 현대건설기계(267270) 등 국내 건설기계산업의 주요 텃밭이었던 중국으로의 수출액이 1년 새 26% 감소했지만 북미와 유럽, 중동을 비롯한 신흥 시장의 수요가 뒷받침되며 전체 수출 증가를 이끌었다.

올해도 중국 외 지역으로의 수출 증가 폭이 확대하는 흐름이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중국은 ‘헝다 사태’ 이후 부동산 산업이 위축됐고 경제성장률이 지난해 8.1%에서 올해 4.0%(국제통화기금·IMF 전망치)로 낮아질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1조2000억달러 규모의 인프라 예산안을 통과시킨 미국이나 경기 부양책을 내놓은 유럽,경기가 회복될 것으로 보이는 아세안 지역에서의 수요는 탄탄할 것으로 분석됐다. 협회가 전망한 지역별 수출 증가율은 △유럽 20% △북미 17% △중남미 5% △아세안 7% 등이다. 중국과 중동으로의 수출은 각각 20% 정도, 5%가량 감소할 것으로 점쳐졌다.

금액 기준, 단위=억달러, 자료=한국건설기계산업협회
건설기계업계도 성장이 예상되는 선진국과 신흥시장에서의 딜러망을 확대하고 맞춤형 제품을 출시해 경쟁력을 확보하는 등 대응에 나섰다. 현대두산인프라코어는 20여 년만에 불도저를 다시 생산하기로 했다. 대규모 공사 현장이 많아 굴착기와 불도저를 함께 구매하는 북미 시장의 특성을 고려한 조치였다. 현대건설기계는 시장 확대에 대응해 4년 동안 1941억원을 투자해 울산공장 생산능력을 지금보다 50% 확대할 계획이다.

주로 미국 시장에서 사업하던 두산밥캣(241560)은 사업 영역을 유럽으로도 넓히고 있다. 현지 딜러망과 마케팅을 강화한 결과 지난해 EMEA(유럽·중동·아프리카) 법인 매출액이 전년 대비 30% 이상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지난 4개년 연평균 매출액 증가율 11%를 웃도는 수준이다.

전 세계 건설기계 시장 30%가량을 차지하는 중국에선 ‘버티기 작전’에 돌입한다. 현대두산인프라코어와 현대건설기계를 둔 현대중공업그룹 기계부문 중간 지주사인 현대제뉴인은 중국사업을 총괄할 중국사업본부를 신설했다. 연비 효율이 높은 신형 중대형 굴착기를 집중 판매하고 미니 굴착기 등 라인업을 다변화해 시장점유율을 지키겠다는 계획이다.

김홍균 DB금융투자 연구원은 “미국의 강한 수요가 지속하고 유럽의 수요 회복세도 뚜렷해지는 등 주요 선진·신흥 시장의 수요 개선세가 양호하다”면서 “견실한 수요를 바탕으로 판가도오르며 수익성이 개선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반응형

댓글